본문 바로가기
AI 정보

2025년 AI 트렌드 5가지

by tomar_el_sol 2025. 4. 24.
반응형

 

 

 

미래의 빈부격차는 바로 AI에서 비롯될 것이다. AI는 모든 산업의 중심 기술로써 많은 비즈니스와 일자리의 패러다임을 바꾸고 있다. 살아남기 위해선 AI를 활용하는 사람이 될 것인지, 대체될 것인지를 선택해야 한다. AI를 공부하는 첫 번째로 2025년 AI 트렌드 5가지를 정리해보고자 한다. 

 

 

1. 멀티모달 AI의 확산

멀티모달이란, AI가 여러 종류의 정보, 예를 들어 텍스트, 이미지, 음성 등을 동시에 이해하고 처리할 수 있는 능력을 말한다.  AI는 인간만큼이나 다감각적인 이해도를 바탕으로 텍스트, 이미지, 음성, 영상 등 다양한 정보를 동시에 처리한다. 사진을 보고 사람이나 동물의 나이를 가늠하거나, 영상 속 음성만을 듣고 분위기, 감정, 행동을 추론하기까지 한다. 기존의 AI는 대부분 한 가지 정보만 처리했지만, 멀티모달 AI는 복합적인 정보 처리로 더 자연스럽고 인간 같은 반응이 가능해지는 게 핵심이다. 이에 따라 사용자 경험이 훨씬 직관적으로 변하고 있으며, 더 인간다운 상호작용과 직관적인 UX가 가능해졌다. 

 

1) 멀티 모달 AI 툴 사례: 

 

  • GPT-4o (OpenAI): 텍스트·음성·이미지 동시 대응 
  • Gemini 1.5 (Google): 영상 분석은 초기 단계지만, PDF, 이미지, 웹 정보를 종합 분석하는 데 강함
  • Claude 3 (Anthropic): 문서 기반 멀티모달 처리에 강함. 이미지를 문맥과 함께 정교하게 해석함 

 

 

2. 에이전트형 AI의 실용화

보통 AI라고 하면 챗GPT와 같은 질의응답을 생각할 수 있다. 그러나 AI는 점점 단순한 답변을 넘어서, 사용자 목적에 따라 주도적으로 행동하는 ‘에이전트’로 발전하고 있다. 이메일 정리, 회의 일정 예약, 문서 작성, 디자인까지 스스로 수행하며, 여러 툴과 API를 연동해 복잡한 작업도 처리까지 대신 해주는 셈이다. 

 

1) 에이전트형 AI 툴 사례: 

  • AutoGPT: 목표 기반의 연속 작업 수행할 수 있음 
  • OpenAI Assistant API: 앱 내 자동화된 AI 도우미 역할이 가능 
  • ChatGPT + Tools: 파일 읽기, 웹 검색, 코드 실행까지 한큐에 끝. 

 

3. 온디바이스 AI와 개인화 

AI가 클라우드가 아닌 스마트폰, 노트북 같은 개인 기기에서 작동하면서 개인정보 보호뿐만 아니라 반응 속도까지 크게 향상되었다. 사용자의 데이터가 로컬에서 처리되며 개인 맞춤형 기능이 강화되고 있는 것이다. 애플, 구글 등은 이를 중심으로 차세대 생태계를 구축 중이기도 하다. 

 

1) 온디바이스 AI 툴 사례: 

  • Apple Neural Engine: 아이폰 내 음성/사진 인식
  • Samsung Gauss: 갤럭시 내 AI 개인 비서
  • Google Gemini Nano: Android 폰에서 온디바이스 AI

 

4. AI 규제 및 윤리 기준 강화

AI의 영향력이 커지면서 각국의 정부가 나서기 시작했다. 투명성, 안전성, 비차별성 등을 법으로 규제하는 방식으로 말이다. 특히 유럽 AI법은 고위험 AI 분류와 책임 의무를 명확히 하며 산업 전반에 막강한 영향력을 미치고 있다. 기업들은 '책임 있는 AI' 개발을 핵심 전략으로 삼고 있다.

 

1) AI규제 및 윤리 기준 사례: 

  • EU AI Act: 세계 최초 포괄적 AI 규제 법
  • OpenAI 시스템 카드: 모델 투명성 공개 도구
  • IBM Watson Explainability: AI 예측 설명 도구

2) 2025년 기준, AI를 강력하게 규제한 국가 사례

by ChatGPT

 

  1. 스페인, AI 생성 콘텐츠 미표시에 대한 대규모 벌금 부과 : 스페인 정부는 AI로 생성된 콘텐츠를 적절히 표시하지 않을 경우 최대 3,500만 유로 또는 전 세계 매출의 7%에 해당하는 벌금을 부과하는 법안을 승인했다. 이 법안은 '딥페이크'와 같은 조작된 콘텐츠의 확산을 막기 위한 조치로, AI 생성 콘텐츠의 명확한 라벨링을 요구한다. 또한, 취약한 집단을 조작하는 기술과 생체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개인 분류 시스템도 금지됩니다. 이러한 규제는 유럽연합의 AI 법안(EU AI Act)을 따르며, 스페인 AI 감독 기관인 AESIA가 시행을 감독한다. 
  2. 영국, AI를 이용한 아동 성착취 이미지 생성 도구 단속 : 영국은 AI를 사용하여 아동 성착취 이미지를 생성하는 도구의 소지, 제작, 배포를 불법으로 규정하는 새로운 법률을 도입했다. 이 법률에 따라 해당 도구를 소지하거나 관련 매뉴얼을 보유한 경우 최대 5년의 징역형에 처해질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콘텐츠를 호스팅하는 웹사이트에 대한 단속과 국경에서의 디지털 장치 검사 권한도 강화되었는데, 이 조치는 AI 기술을 악용한 아동 성착취 문제에 대응하기 위한 것으로, 법 집행 기관과 아동 보호 단체들의 오랜 요구에 따른 것이다. 

 

5.  AI 를 활용한 창작 활동 

AI는 예술, 디자인, 글쓰기 등 창의적인 역량이 필요한 작업에서도 실질적인 협업자로 자리매김 중이다. 예술가와 AI가 함께 만든 음악, 소설, 영상이 실제로 상용화되고 있으며, 창작의 속도와 다양성이 획기적으로 향상되고 있다. 

 

1) 창작 분야에서의 AI 협업 툴 사례 

  • Runway ML: 영상 편집 및 AI 합성 영상 제작
  • Suno AI: AI 작곡 및 음원 생성 도구
  • ChatGPT/Gemini for Writing: 창작 글쓰기 보조

2) AI를 활용하는 작가들 사례 : 

  1. Refik Anadol – 데이터로 그리는 예술
  • 터키 출신의 미디어 아티스트.
  • AI와 빅데이터를 활용해 ‘데이터 회화(Data Painting)’를 창조.
  • 대표작: 《Machine Hallucination》 – 뉴욕 MoMA 전시

Refik Anadol, Art of Intelligence

2. Sougwen Chung – AI와 함께 그리는 드로잉

  • 중국계 캐나다 작가, 로봇과 AI를 협업 파트너로 사용
  • AI 로봇 팔과 함께 실시간 드로잉 퍼포먼스를 진행
  • 대표 프로젝트: Drawing Operations 시리즈

Sougwen Chung, Mutations No. 8 /Mutations No. 7

 

반응형